1. text.txt 파일의 현재 접근 권한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사용자와 그룹에 실행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명령으로 맞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r--r--r-- 1 user1 223 7월 10 17:41 test.txt
<정답 4번>
664면 사용자와 그룹에 읽기, 쓰기 권한이 부여된다.
2. text.txt 파일의 현재 접근 권한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사용자와 그룹에 쓰기 권한을 부여하고, 기타 사용자에게는 아무 권한도 주지 않으려 한다. 이를 기호 모드로 바르게 수행한 것은 무엇인가?
-r--r--r-- 1 user 1 223 7월 10 17:41 test.txt
<정답 2번>
chmod ug+w,o-r test.txt
3. text.txt 파일의 접근 권한을 소유자만 읽을 수 있고, 그룹과 기타 사용자에게는 아무 권한도 주지 않으려 한다. 이를 수자 모드로 바르게 수행한 것은?
<정답 3번>
chmod 400 test.txt
4. 현재 umask 값이 022다. 이 상태에서 a.txt 파일과 linux 디렉터리를 생성했다. 이들의 접근 권한은 어떻게 생성되는가?
<정답 2번>
기본권한 -> 파일: 664, 디렉터리: 775
5. 리눅스는 사용자를 세 카테고리로 구분한다. 이 카테고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정답 3번>
6. 기본 접근 권한을 설정하는 명령은 무엇인가?
<정답 4번>
umask이다.
7. 특수 접근 권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정답 1번>
8. 파일의 속성은 어떤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는가?
ls -l 명령으로 상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9. 접근 권한의 세 가지 종류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read: 파일을 읽거나 복사할 수 있다.
write: 파일을 수정, 이동, 삭제할 수 있다.
execute: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
10. 파일의 읽기 권한과 디렉터리의 읽기 권한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설명하시오.
파일의 읽기 권한은 파일을 읽거나 복사할 수 있는 권한이고,
디렉터리의 읽기 권한은 ls 명령으로 디렉터리 목록을 볼 수 있는 권한이다.
11. 디렉터리에 실행 권한이 없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시오.
cd 명령으로 해당 디렉터리로 이동할 수 없는 뜻이다. 디렉터리 복사도 안된다.
12. 다음은 파일의 접근 권한을 나타낸다. 빈칸에 각 접근 권한의 의미를 쓰시오.
접근 권한 | 소유자 권한 | 그룹 권한 | 기타 사용자 권한 |
rwxr-xr-x | 읽,쓰,실 | 읽,실 | 읽,실 |
rw-r--r-- | 읽,쓰 | 읽 | 읽 |
r--r--r-- | 읽 | 읽 | 읽 |
13. 생략
14. 다음 접근 권한을 숫자로 표기하시오.
rwxr-xr-x (755)
rw-r--r-- (644)
rw-r----- (640)
r--r--r-- (444)
r-xr-xr-x (555)
15. exmod.txt 파일의 현재 권한을 다음과 같이 변경된 권한으로 바꾸는 명령을 빈칸에 쓰시오.
기호 모드
현재 권한 | 변경된 권한 | 명령 |
rwxr-xr-x | r-x------ | chmod u-w,go-rx exmod.txt |
rw-r--r-- | r--r--r-- | chmod u-w exmod.txt |
숫자 모드
현재 권한 | 변경된 권한 | 명령 |
rw------- | rw-rw-rw- | chmod 666 exmod.txt |
r--r--r-- | r-xr-xr-x | chmod 555 exmod.txt |
16. 마스크 값이 007일 때 파일과 디렉터리를 생성하면 기본 접근 권한은 어떻게 되는가?
마스크 값이 007이면 기타 사용자에 대해 모든 권한을 제거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파일의 기본 권한은 664, 디렉터리의 기본 접근 권한은 775 이므로
파일의 기본 접근 권한은 660, 디렉터리의 기본 접근 권한은 770이 된다.
즉 rw-rw----, rwxrwx--- 이다.
17. 마스크 값을 007로 바꾸는 명령은 무엇인가?
umask 007
18. 파일의 접근 권한을 확인했더니 'rwSr--r--'이다. S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실행 권한이 없는 파일에 SetUID나 SetGID를 설정하면 s가 아니라 S가 표시된다.
이렇게 대문자 S가 나타나면 특수 접근 권한을 잘못 설정한 것이다.
19. 스티키 비트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스티키 비트는 디렉터리에 설정하며, 디렉터리에 스티키 비트가 설정되어 있으면
이 디렉터리에는 누구나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20. 생략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우분투 리눅스 2장 연습문제 (0) | 2024.04.23 |
---|---|
[Linux] 우분투 리눅스 6장 연습문제 (0) | 2024.04.21 |
[Linux] 우분투 리눅스 4장 연습문제 (0) | 2024.04.20 |
[Linux] 우분투 리눅스 3장 연습문제 (2) | 2024.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