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

[Linux] 우분투 리눅스 6장 연습문제

1. 프로세스의 PPID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정답 4번>

ps -f

 

2. 사용자 han1과 관련된 프로세스의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정답 4번>

ps -pu han1 은 올바른 옵션 조합이 아니다.

 

3. jobs 명령의 실행 결과가 다음과 같다. [2]번 작업을 포그라운드 작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명령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정답 1번>

작업 전환할 때는 fg %작업번호 형식이다.

 

4. crontab에 12월 30일 14시 30분에 /tmp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 목록을 tmp.out에 저장하도록 설정하려고 한다. 옳게 설정한 것은 무엇인가?

<정답 2번>

 

5. 다음 중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정답 4번>

 

6. 명령을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실행시키기 위해 명령 다음에 추가하는 특수문자는 무엇인가?

<정답 2번>

 

7. 사용자 계정이 at 명령을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정답 4번>

 

8. 일반 프로세스와 데몬 프로세스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일반 프로세스는 현재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으로 작업 수행한 후 종료된다.

데몬 프로세스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존재하며 리눅스 커널에 의해 실행된다.(귀신, 조용히 뒤에서 할 일)

데몬 프로세스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입력을 받지 않고 사용자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9. ps -f 명령의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프로세스의 부모- 자식 관계를 설명하시오.

pid가 해당 프로세스의 번호이고 ppid가 부모 프로세스의 번호이다. 15701-15710 -15721-15761

 

10. guest 사용자가 실행한 프로세스를 모두 찾으려고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은 무엇인가?

$ ps -fu guest

$ ps -ef | grep guest

 

11. PID가 5000인 프로세스 kill 5000으로 종료하려는데 종료되지 않는다. 이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설명하시오.

kill -9 5000

 

12. 주기적으로 프로세스들의 상태를 살펴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top

 

13. 프로세스를 종료할 때 kill 명령보다 pkill 명령이 더 편리한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

pkill은 pid가 아니라 프로세스 명령 이름으로 프로세스를 찾아 종료하기 때문에 같은 명령이 여러 개일때 한번에 종료할 수 있다.

 

14. 현재 실행 중인 포그라운드 작업을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다음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시오.

$ find / -name test

먼저 위 명령을 실행한 다음, Ctrl+Z 로 실행을 정지시킨다.

작업을 중지시킨 후, bg 를 입력해 백그라운드로 작업을 전환한다.

 

15. 현재 실행 중인 백그라운드 작업을 포그라운드 작업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다음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시오.

$ jobs

[1] + 실행 중 sleep 100

 

fg 나 fg %1

 

16. 다음과 같이 백그라운드로 실행 중인 작업이 3개 있다. 이 중 3번 작업을 종료하는 명령을 기술하시오.

$ jobs

[1] + 실행 중 sleep 100

[2] - 실행 중 find / -name test

[3] 실행 중 sleep 300

 

kill %3

 

17. 로그아웃 한 다음에도 find / -name test 명령을 계속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기술하시오.

nohup find / -name test &

 

18. at 과 crontab 명령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at은 예약 명령을 지정 시간에 한번 실행하는 명령어

crontab은 예약 명령을 주기적으로 여러번 실행하는 명령어

 

19. guest01 사용자가 /etc/cron.allow 파일과 /etc/cron.deny 파일에 모두 등록되어 있다. guest01 사용자는crontab 명령을 사용할수 있는가?

두 파일에 모두 다 이름있으면 allow가 우선적이기 때문에 사용 가능하다.

 

20. 12월 31일 낮 12시에 user01 사용자가 실행하고 있는 프로세스 목록을 확인하도록 at 명령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시오.

at 12:00 pm Dec 31

at> /usr/bin/ps -u user01

at> <EOT> (Ctrl+d)

 

21. 매주 일요일 밤 12시면 user01 사용자가 실행하고 있는 프로세스 목록을 확인하여 user01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에 ps.out 파일로 저장하도록 crontab을 설정하시오.

$ crontab -e

0 24 * * 0 /usr/bin/ps -u user01 > ~user01/ps.out

 

22. 다음과 같이 at 명령으로 설정한 작업이 있다. 이 작업을 삭제하는 명령은 무엇인가?

user1@myubuntu: ~$ atq

8       Sun May 31 15:30:00 2022 a user1

9       Sun May 31 16:00:00 2022 a user1

user1myubuntu:~$

 

atrm 8

at -d 9